1. 기류방식(Patterns of Air Flow)
층류식(수직,수평), 난류식, 혼류식, 터널식이 있고, 각각의 특징을 가지며, 사용목적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2. 청정도(Cleanliness Level)
클린룸의 청정도는 제품에 요구되는 정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청정도 레벨은 기류방식, 환기횟수, 실내압력 등을 충분히 검토함으로써 달성됩니다.
3. 계획(Lay-Out)
작업성을 고려하여 또한 청정도를 만족하도록 Lay out을 결정합니다. 먼지 발생이 많은 작업은 다른 작업과 격리합니다. 또 사람, 물건의 출입구, 통로, Utility, 유지보수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구조, 재료(Structure & Materials)
가능한 한 실내 표면을 매끄럽게 해서 기류가 흐트러지거나 먼지가 쌓이지 않는 구조로 한다.
먼지발생이 적을 뿐만아니라 입자가 잘 부착되지 않고 청소가 용이한 재료를 선택한다.
작업내용에 따라 내약품성, 내습성, 내화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5. 부속장치(Equipments)
클린룸을 구성하는 주변장치에는 먼지제어, 압력유지용에 Air show(사람의 출입용), Pass box(물건출입용), Safety Damper(실내압력조정용) 등이 있고, 물품, 무진복의 보관을 위한 클린스토카, 클린락카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각각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6. 사람과 물건의 관리(Control of Working Persons and Materials)
작업자와 외부에서 반입되는 물품은 최대의 발진원입니다. 무진복과 화장의 문제 등을 포함하여 작업자는 클린룸화에 대한 기본지식이 필요합 니다.
7. 유틸리티(Utility)
급배수, 가스, 전기 등 에너지공급을 위한 장치는 기류방식, Lay out의 Flexibility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합니다. 또 유지보수시에는 청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고려 할 필요가 있습니다.
8. 안전대책과 비상설치(Safety & Emergency Plan)
클린룸은 밀폐구조이므로 화재, 가스누설 등에 대한 최대대책이 필요합니다. 또 정전에 의해 문제가 되는 장치는 비상전원설비를 갖추는 것 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
수직층류방식
Vertical LaminarAirflow Clean Room |
수평층류방식
Horizontal LaminarAirflow Clean Room |
난류방식
Turbulent Airflow Clean Room |
클린튜브방식
Clean Tube Clean Room |
터널방식
Tunnel Clean System |
||
Cleanliness
level |
Class 1~100
|
Class 100~1000
|
Class
1,000~100,000 |
Class 1
|
Class 1~100
|
||
Cleanliness
levelin operation |
작업자로부터
영향 은 적다 |
상류발진이
하류에 영향을 미친다 |
작업자로부터
영향 있음 |
작업자로부터
영향 없음 |
작업자로부터
영향은 가장 적다 |
||
Initial Cost
|
High
|
Middle
|
Low
|
Low
|
Middle
|
||
Operating Cost
|
High
|
Middle
|
Low
|
Low
|
Middle
|
||
Modification
|
Easy
|
Difficult
|
Easy
|
Difficult
|
Difficult
|
||
Maintenance
of Manufacturing Machinery |
Easy
|
Easy
|
Easy
|
Difficult
|
Easy
|
||
Expansion
|
Difficult
|
Difficult
|
Difficult
but possible |
Difficult
|
Easy
|
||
Air Handiling
withprecise control |
실전체 제어를
위해 실내의 불균형 약간 있음 |
상류의 발진이
하류에 영향을 미친다 |
불균형 있음
|
고청정도
유지 |
작업부위마다
고정밀도 제어 가능 |
CLEAN ROOM·BIO CLEAN ROOM등 고도의 청정된 공기속에 먼지나 균의 가장 큰 발생원은 출입 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실내에 들어가기 전에 청정된 고속의 공기로 의복등 표면에 부착된 먼지입자를 날려 FILTER에 의해 제거합니다. 또한 부대 효과로서 CLEAN ROOM 내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며 AIR SHOWER 자체가 예비실의 역할이 되며 외부와 차단 효과를 보게 됩니다.
CLEAN ROOM에서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의 실내 출입을 제한하고 물품을 PASS BOX 를 통하여 실내에 유입하며 CONVEYOR을 이용한 PASS BOX를 설치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SHOWER (S-TYPE) |
CIRCULATION (C-TYPE) |
|
---|---|---|
용도
|
물품의 청정화가
목적, 일반실과 C/R간에 설치 |
물품의 오염방지가
목적, 일반실과 C/R관에 설치 |
기류
|
![]() |
![]() |
공기조화기 형식은 수평형, 입형, 복합형, 멀티종의 4형식으로 수용자의 요구에 의해 제작하고 있습니다. 외판은 냉각 압연 강판을 사용하고 표면은 탈지, 인산 피막 처리후 방청 도장을 하고 마감도장을 하여 소부 처리하므로 도료와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방습 효과가 높으며 외관이 미려합니다. 외판 내면은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를 위하여 난연처리된 폴리에틸렌 폼판을 접착제로 부착하므로 보온 ·보냉 및 흡음 효과를 얻으며, 인체에 전혀 해가 없습니다. 또 제품 출고시 크기에 따라 2~3등분하여 납품하므로 운반, 반입, 설치에 용이하고 시공 시간이 단축됩니다.
코일의 재질은 99.9% 이상의 고순도 인탈산 동관을, Finline으로 알미늄판을 파형(Corrugated)으로 성형한 후 적층하여 삽입, 기계적 확관을 하여 일체로 제작합니다. 확관량이 일정하여 코일 전체가 균일하게 확관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어 단위 전열 면적당 전열계수가 놓아졌고 코일의 변형이 없으며 내구성이 높습니다. 으뜸표준 공기 조화기는 냉수코일 6열~8열, 가열 코일은 온수 코일일 경우 4열, 증기코일은 2열을 내장합니다.
표준형으로 증기 분무식(Steam Grid)가습기를 사용하므로 효율이 높고 가습효과가 빠릅니다. 사용증기압은 0.35㎏/㎠G가 표준이고 수요자 요구에 따라 수분무식이나 펜가습기도 설치하며 수분무식에서는 엘리미네터가 부착됩니다.
에어필터는 코일 정면 면적의 약 1.5배의 면적으로 V형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여재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세척후 재사용할 수 있는 유니트형입니다. 통과 풍속이 낮고 공기의 정압 손실이 작아 동력비가 절감됩니다. 또 사용 조건이나 수용가의 요구에 따라, 유니트필터, 자동 롤 필터가 클린룸용 초급필터, 중급필터, 고성능 필터도 공급합니다.
소형과 중형 공조기는 1개의 양흡형 송풍기를 장착하여 운전효율을 높이고 사용 송풍기 종류는 사용전 정압 30㎜Aq~50㎜Aq에서는 다익형 송풍기를 사용하고 50㎜Aq~200㎜Aq에서는 전압효율이 높은 에어포일형 송풍기를 사용하여 소요동력을 감소시켰습니다. 송풍기 회전익은 정밀히 제작하여 전량 정, 동 평형작업을 완전히 하여 운전중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로 하였고 풍량 가변 방식(VAV)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익송풍기는 스크롤 댐퍼를 에어 포일 송풍기는 흡입구 배인을 수용가 요구에 따라서 부착하여 현대적인 공기조화 방식에 부응하고, 에너지 절감 시책에 앞장서고 있습니다.